판유리 가공과 시공에서 부실이 발생하는 이유는 본래 목적과 다르게 임의로 가공하거나 시공한 것을 말하는데 부실 가공과 시공의 문제점은 당연히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위험성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잠시 부실공사와 하자의 정의를 잠시 정리하면 ‘하자’는 사물의 결함이나 잘못, 결점을 의미하고 요건에 충족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데 부실공사는 설계와 다르게 기준을 벗어나 임의로 시공한 사항으로 서로 구분할 수가 있다.
이처럼 판유리 가공과 시공에서 부실은 하자 건에 유사한 내용으로 대표적인 여러 사항을 말하고자 하는데 실제로 일반인은 구분하기 어려우며 이런 부실 발생은 비적합자가 가공하거나 시공할 경우에 드물게 발생하는 경우이다.
창호에서 창틀(샤시) 실리콘 코킹의 부실시공은 여기서는 제외하고 판유리 관련 가공과 시공에서 발생하는 유리 부실을 말하려고 하는데 대부분의 유리 시공업자들은 유리만을 취급하며 창틀과 같은 프레임 설치는 샷시, 금속 공정 업체에서 주로 시공하기 때문이다.
물론 업종에 따라서 각종 유리를 완성되어 공급받거나 직접 가공과 시공도 같이 겸하기도 하지만 이번 유리 부실 발생은 오직 관련 유리 공정에서 일어나는 하자 건에서 말하고자 한다.
판유리를 가공하여 시공하든 유리에서 발생하는 부실 발생은 몇 가지 정도로 한정되어 있는데 유리를 단지 파손없이 시공하고 실리콘 코킹까지 마감되었다고 완벽한 시공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강화유리의 경우 크기가 맞지 않다면 처음부터 유리를 재단하여 강화로에 집어넣어 다시 강화시켜 시공하여야 하지만 다른 가공 유리의 시공은 다를 수가 있다.
로이유리와 같은 반사유리를 앞뒤 구분없이 시공한 케이스도 부실시공에 해당하며 칼라 에칭유리의 경우는 코팅 마감이 원활하게 처리되지 않아 색이 바래거나 벗겨지는 현상이 있을 수도 있으며 또 베벨드 유리는 납땜 불량으로 조각유리가 흔들리는 경우도 시공보다 가공에서 하자 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복층유리는 실링의 문제가 있거나 방습제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도 가공 과정에서 부실이 발생한 경우이고 서류를 허위로 조작하여 가짜 방화유리를 납품하는 경우는 위법 사항으로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가 있다.
윈도우 유리를 8mm 맑은 유리로 시공하기로 계약을 하고서는 5mm 맑은 유리를 넣어 시공하는 것도 부실시공이며 엄격히 말하며 사기 행위라고 말할 수도 있으며 유리의 각면 가공을 기계로 요청하였는데 임의로 수작업으로 가공한 행위도 마찬가지이다.
뿐만 아니라 스텐레스 프레임에 윈도우 유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실측자 또는 재단사)간의 실수로 프레임 틀보다 유리가 시공규격 오차보다 작거나 크면 이것도 부실 시공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유리가 시공 규격보다 작거나 크다고 시공 작업자가 무리하게 시공을 진행하게 되면 유리가 가진 본래의 기능 상실률이 커지며 더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하자이기 때문이다.
프레임 구조에 유리를 넣어 고정하는 과정이 단순하지 않은 것은 유리가 시공 규격보다 크면 건물에 발생하는 자연 진동으로 인하여 시공 유리가 강도를 견디지 못하고 피로도가 발생한 곳에서부터 크랙이 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샤워부스 강화유리도 시공 후에 자연 파손되는 사고도 마찬가지인데 강화유리를 강화로 챔버에 넣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무리한 납품과 시공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부실한 가공과 시공이라고 꼬집어 말하고 싶다.
이처럼 판유리 가공과 시공에서 적지 않게 부실이 발생하며 알면서 넘어가고 모르면서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현장에서 열심히 그리고 묵묵히 일하는 많은 현장 근로자들을 미꾸라지 몇 마리가 전체를 욕먹이며 어처구니 없는 경우가 다른 부실공사 상황과 유사하다.
오늘은 판유리 가공과 시공 28번째 시간으로 부실 발생에 관한 글을 쓰면서 여담으로 주변 지인들에게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는것 아니냐는 타박아닌 타박을 받게되는데 글 몇 줄 쓴다고 달라지는 건 아니지만 유익한 정보는 많이 펴지는게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